미륵님말굴레

개밥그릇/잡동사니 2024. 4. 24. 14:07

한국미륵사상연구회-진해원(眞解寃)의 교조(敎祖)인 분은 호봉(湖峯) 장기동(張基東) 선생님이신데

순천도(順天道)의 창교자 사수(師首) 장기준(張基準)님의 육촌 형입니다.

호봉(湖峯) 장기동님이 도문에 들어온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천도(順天道) 창시자인 장기준(張基準) 사수(師首)가 젊은날 독립운동에 참여하지 못한 화병을 이기지 못하여 나병(癩病)에 걸린다. 이 병에 걸린뒤 치료법을 찾고자 백방으로 수소문 하던중, 33세 되던 임자(壬子 1912)년 3월 15일 태인면(泰仁面) 백암리(白岩里) 부근에 사는 한 과객 김화숙(金化淑)을 만나게 되었다.

김화숙은 말하기를 ‘하느님의 화신(化身)이신 증산(甑山)께서 내신 태을주(太乙呪)를 송독하면

물약자효(勿藥自效)하리라. 하고 증산께서 재세시에 종도들에게 만사무기태을주(萬事無思太乙呪)이고 만병통치태을주(萬病通治太乙呪)이며 무궁무궁태을주(無窮無窮太乙呪)라고 말씀하신 뜻을

설명하여 주었다. (順天道沿革史 2面)

이에 장사수는 증산대성의 성력(聖歷)을 자세하게 물은 후 몸과 마음을 다하여 증산대성을

믿을 것올 결심하고 태을주(太乙呪)를 받았다. 이후 장사수는 순천(順天)에서 천석꾼인 육촌형 장기동(張基東)을 찾아가 공부할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한다. 장기동은 흔쾌히 사수 장사수가 공부할수 있도록 도와주어, 장사수는 임자년(任子年) 5월 24일 호봉 장기동 소유 동내 앞 매봉산하에서 공부를 시작한다. 5월 24일 당일 날 장기동이 자신의 방에 있는데 “자네는 좋은 공부을 남만 시키고 자네는 공부를 안하는가?”란 말이 들렸다. 처음에는 잘못 들은 것이려니 하였는데, 재차 이런말이 들리기에 자신의 귀에 무슨 병이 들었나 생각하고 있는데,

조금후 방문이 열리면서 왠 신선(神仙)이 방문 앞에서 “어찌 좋은 일을 너는 안하고 남만 시키느냐?” 재차 말을 하기에 자신의 눈도 병이 들었나보다 생각을 했다. 그리고 조금 후

신선께서 “손님에게 앉으라는 인사도 없이 이것이 무슨 인심인고?” 하기에 자신이 헛것을 보거나 들은 것이 아닌 것을 깨닳고 신선을 방 아랫목 자리에 모시고 자신은 장기형으로 이곳 순천서

생장(生長)한 목천장씨 21대손이라 소개하고 인사를 올린후 “신선께서는 뉘신지요?” 라고 물어보았다.

이에 신선은 “나는 네가 말로만 듣던 전라도 고부군 우덕면 객망리에 사는 강증산인데

현재는 옥경(玉京)이다. 어찌하여 좋은 공부를 너는 하지 않고 남에게만 시키는,

너의 아름다운 마음이 탐이 나서 내 너에게 공부를 시키고자 이렇게 찾아왔노라”라고 하셨다. 장기동은 자신은 어떻게 공부할지 모르겠다고 대답을 했다. 이에 증산대성(甑山大聖)께서는

자신이 시키는 대로만 하면 된다고 하며 내일 이 방을 도배를 다시하여 공부방으로 만들라고 지시하였다.

이튿날 장기동은 하인들을 시켜 방 도배를 다시하여 공부방으로 만든 후, 장사수가 공부를 시작한 다음날인 5월 25일부터 공부를 시작하였다. 27일에는 증산대성(甑山大聖)께서 장기형(張基衡)이란 이름을 장기동(張基東)으로 바꾸고, 호봉(湖峯)이라는 호를 내려 주셨다. 그리고 이날 장기동은 증산대성(甑山大聖)께 사제(師弟)의 예를 올렸다.』 – 범증산종단사 진해원사(眞解寃史)

이후 호봉 장기동(張基東)님은 김형렬 성도님의 미륵불교에 합류하여 신앙을 위하여 전재산을 바치셨고, 선화(仙化)하는 그 순간까지 신앙을 지키셨습니다.

호봉 장기동님은 임진년(壬辰年 1952년) 12월 5일 자신의 아들에게 증산대성(甑山大聖)께서 짜놓으신 도수는 불변하다. 천지대운(天地大運)은 갈곳 없다”란 유언을 남기고 선화(仙化) 하셨습니다.

이후 신앙은 호봉 장기동님의 아들이신 유일(唯一) 장보만(張寶萬)님으로 이어졌으나 손자인 호산(虎山) 장영주(張永株), 유산(有山) 장영준(張永峻)대에 와서 중단되었습니다.

할아버지, 아버님이 신앙에 전념하셨기에, 경제적인 문제 및 여러 문제로 가족들이 고생하는 것이 싫어서 두 분은 신앙을 하지 않고 성실한 사회인으로 열심히 살았습니다.

그러나 미륵불님께서 호산(虎山) 장영주(張永株)님에게 굴레를 씌어 결국 신앙의 길로 접어 들어서시고, 결국 물약자효(勿藥自效) 의통(醫統)이 열러 여러 사람을 도와주게 됩니다.

‘미륵님 말굴레’는 호산(虎山) 장영주(張永株)님이 미륵불님의 굴레로 인하여 신앙에 들어서는 과정을 기록한 책입니다. 현재 진해원(眞解寃)을 책임지고 계신 유산(有山) 장영준(張永峻)님에

관한 이야기도 나옵니다,

책의 공개를 허락해주신 유산 장영준 스님께 감사 인사 올립니다

성불 하시어 널리 광구창생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나무아미타불

 

출처: https://m.blog.naver.com/certi88/221648105738 

 

미륵님말굴레

한국미륵사상연구회-진해원(眞解寃)의 교조(敎祖)인 분은 호봉(湖峯) 장기동(張基東) 선생님이신데 순천도(...

blog.naver.com

 

미륵님말굴레 원본스캔.part1.rar
15.00MB
미륵님말굴레 원본스캔.part2.rar
15.00MB
미륵님말굴레 원본스캔.part3.rar
15.00MB
미륵님말굴레 원본스캔.part4.rar
15.00MB
미륵님말굴레 원본스캔.part5.rar
2.90MB

:

가장 편히 쉴때도 뇌는 깨어 있다

종교정신과 道/과학 2024. 3. 16. 13:53


 




우리 뇌는 쉴 틈이 없다. 굳이 현대 사회의 복잡함을 들먹이 지 않더라도 뇌는 늘 바쁘다.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는 간단한 일조차도 과정을 하나하나 따져보면 복잡하기 짝이 없다. 몸속의 수분이 줄어서 혈액의 삼투압이 변화하면 뇌 시상하부의 갈증 중추에서 이를 인지하고 수분이 부족하니 빨리 보충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갈증 중추가 비상사태를 선포하 면 뇌의 전 영역이 움직인다. 기억 중추는 이전에 물을 마셨던 곳을 기억해내고 운동 중추는 몸의 근육을 움직여 냉장 고 앞으로 움직이게 한다. 시각 중추와 운동 중추는 실시간 으로 협력하며 물병의 위치와 거리에 맞춰서 손을 움직이게 하고, 컵에 물을 담아 입으로 가져가는 과정을 수행한다. 우리는 별 생각 없이 그저 목이 말라서 물 한 잔 마시는 간단한 일을 했을 뿐이지만, 뇌는 그 단순한 일 하나를 위해 이처럼 번거로운 과정을 하나하나 처리해낸다.

심지어는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가만히 있을 때조차 가만히 있지 않는다. 흔히 ‘멍 때린다’고 표현하는 상태, 아무 생각 없이 그저 자극을 받아들일 뿐인 상태에서도 뇌는 활발하게 움 직이며 에너지를 소모한다. 뇌가 호흡이나 심장 박동, 호르몬 조절을 모두 관장하는데 당연한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연수나 간뇌가 아니라 의식적인 활동을 관장하는 대뇌 이야기다. 우리가 아무 생각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놀랍게도 대뇌 일부분은 여전히 일을 한다. 쉬지만 쉬지 않는 셈이다.

‘내가 쉬는 게 쉬는 게 아냐’

과학자들에게도 이처럼 슈뢰딩거의 고양이 같은 역설적 상황이 기이하게 여겨졌던 모양이다. 불과 30년쯤 전만 해도 목적의식이 분명한 의식적 활동이 있어야 대뇌가 활성화된다고 여겼다. 이러한 관점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한 실험에서 엿볼 수 있다. fMRI는 뇌 속에 흐르는 혈액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장치다. 신경세포가 활발하게 활동할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그만큼 많은 피가 흘러 들어와야 한다. 따라서 fMRI 영상은 특정 활동을 할 때 뇌 의 어느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보여준다.

예를 들어 뇌의 어떤 부위가 맛을 인지하는지 알아낸다고 해 보자. 우선 음식을 먹을 때 어떤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음식을 보기만 할 때, 냄새만 맡을 때, 아무 맛도 안 나는 고체를 삼킬 때 활성화되는 부위를 찾아내 제외하면 맛을 느낄 때 활성화된 부위만 남는다. 이런 식으로 과학자들은 뇌 지도를 그려냈다.

그런데 1995년, 미국의 버랏 비스월(Bharat Biswal)이 뇌가 분명 쉬어야 하는 상황에서도 활성화되는 부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스월은 잡음 신호를 줄여서 fMRI의 해상도는 높이는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이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뇌 안쪽에서 나오는 느린 파동이 fMRI의 해상도를 떨어뜨린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었다. ‘쉬지만 쉬지 않는 뇌’라는 개념 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이다. 비스월이 던진 의문은 2001년 워싱턴대의 마커스 레이클 (Marcus Raichle) 교수가 바톤을 이어받아 해답을 제시했다. 레이클 교수는 뇌에서 언어와 관련된 영역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다가 기묘한 현상을 발견했다. 피실험자가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는 부지런히 활동하다가, 정작 수행하기 시작하면 조용해지는 부위가 있었다. 당시에는 이처럼 통 념에 어긋나는 신호를 잡음이나 오류로 여겼지만 레이클의 연구진은 이를 간과하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 자료를 뒤져 가며 정체를 규명한 결과, 내정상태 회로, 또는 디폴트 모 드 네트워크(DMN, Default Mode Network)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내정상태, 또는 디폴트 모드란 말 그대로 기본 설정을 말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기본 설정의 개념을 생각해보자. 기본 설정이란 설정을 달리 바꾸지 않았을 때 기본으로 적용되는 상태를 말한다. 만약 사용자가 설정을 바꾸거나 설정에 영향을 줄만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기본 설정은 새로운 설정으로 덮어씌워져서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정상태란 뇌가 활동하면 비활성화되는 기본 상태를 말한다. 우리 뇌는 아무 일도 하지 않더라도 일정하게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의미다.

‘내가 무릎을 꿇었던 것은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다’

그렇다면 ‘기본 상태’가 하는 일은 무엇일까? 레이클 교수는 후측 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cortex), 쐐기전소엽 (precuneus)의 중심부, 내측 전전두피질(MPFC, medical prefrontal cortex)의 중심부 등이 DMN을 구성하는 데 관련됐음을 알아냈다. 후측 대상피질과 쐐기전소엽은 주위 환경 정보 수집을 담당한다. 내측 전전두피질은 감각 정보를 수용하고 변연계(limbic system)와 연결되어 정서적 반응 에 관여한다. 이를 바탕으로 레이클 교수는 DMN이 ‘파수꾼 (sentinel)’의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 뇌는 특별한 일을 하지 않는 동안 뇌 안팎에서 발생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면서 고도의 집중을 요하는 작업에 대비하는 셈이다. DMN이 작동하는 시간 동안 사람은 ‘힐링’의 시간을 보낼지 모르지만 뇌는 음식점의 브레이크 타임 마냥 다음 일을 준비하는 셈이다.

레이클의 연구 이후 뇌과학자들은 휴지 상태에서의 뇌 활 동에 비상한 관심을 보이며 DMN의 다양한 역할이 밝혀지기 시작했다. 레이클이 지적했듯 DMN은 쉬는 동안 작동하며 뇌가 언제든 활동할 수 있도록 준비 상태를 유지해준다. 한편으로는 DMN이 자아 성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쐐기전소엽은 마음 속에 여러 장면과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데, DMN이 작동할 때 해마에 기억으로 저장 된 과거의 모습을 미래로 투사해 먼 훗날의 사진을 상상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DMN이 정신 건강 과 밀접히 연관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에게서는 DMN 활성이 감소하는 반면, 조현병 환자는 과도하게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동안 백일몽을 꾸거나, 문득 과거의 기억이 되살아나거나, 미래에 대한 괜한 망상이 스멀스멀 피어오르거나, 다른 사람의 의도를 떠올리는 것 모두 DMN의 역할이다. 모두 아무 의식적인 목적 없이,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 동안 불현듯 떠오르는 생각이다. 우리가 쉬는 동안 DMN은 이렇게 생각과 주변 상황을 정리하며 우리가 다른 의식적인 활동을 더 잘 할 수 있게 준비한다. 흔히 말하는 머리를 비운 후 생산성이나 창의성이 높아지는 현상이다.

쉬는 동안 깨어있는(resting wakefulness) 독특한 특성 덕분에 DMN은 곧 대중적으로 인기있는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무엇보다 아무 목적 없는 생각, 즉 명상과 창의성, 건강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신경학적 근거로 유용하게 활용됐다. 무엇보다 DMN이 전하는 메시지는 늘 바삐 사는 현대인에게 울림이 크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라. 그래야 생각을 정리하고 집중이 필요한 일을 더 창의적으로 몰입해서 처리할 수 있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시간은 결코 노는 시간이 아니다. 더 큰 도약을 위해 준비운동을 하는 시간이다.

정신의 에너지를 회복하는 멍, 그리고 위험을 알려주는 멍

가끔씩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한 이유, 바쁜 일상 중에 캠핑 장으로 훌쩍 떠나 아무 목적 없이 ‘불멍’에 빠져들고 싶은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도시의 바쁜 일상에 익숙한 사람들일수록 시간을 들여 명상 클래스를 찾고 여행을 갈구하는 이유도 설명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은 DMN이 준비시키는 시간 없이,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고도의 집중을 쏟아붓는 데 익숙해 있다. 그러나 이런 상태에서는 생각이 충분히 정리되지도 않고, 다양한 생각이 떠오르지도 않는다. 무엇보다도 파수꾼 역할을 하는 DMN이 작동할 시간이 줄어들면서 우리는 점점 일상의 다양한 자극과 흥미로부터 멀어지는지도 모른다.

다만 DMN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 다는 점은 염두에 둬야 한다. 여전히 DMN의 역할은 물론, 그 개념 자체에도 의구심을 갖는 학자들이 적지 않다. 분명 휴식 상태에서 뇌가 일정한 패턴으로 활성화되기는 하지만, 실제 이러한 패턴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기능적으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여전히 불분명한 점이 많다. 결정적으로 ‘멍한 상태’가 모두 DMN이 작동하는 상태가 아니다. 딱히 멍해질 생각이 없는데 습관적으로 멍해진다면 ‘브레인 포그(brain fog)’를 의심해봐야 한다. 인지장애 상태의 한 종류로,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우울증을 겪는 경 우 종종 나타난다. 프레인 포그가 심해지면 성인 주의력 결핍 장애(ADHD)나 조발성 치매로 발전할 수도 있다. 그러니 딱히 멍하고 싶지 않은데 멍하다면 뇌가 힘들다고 아우성치는 것일 수도 있으니, 일단 쉬거나 병원부터 찾아가자.



 

(원문)

 

 

소개책자 신청

https://forms.gle/UbXad61LkRMLsDMX9 

 

책자를 보내드립니다.

오늘 한민족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일본은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 계속 우기고 있습니다. 앞으로 점점 더 그 강도가 거세어 질 것입니다. 중국은 동북공정을 끝내고 한민족의 역사도 자국의

docs.google.com

 

:

유식 30송 (현성스님)

종교정신과 道/불교 2019. 8. 20. 14:23

불교에서 ‘무아(無我)’라고 하는데, 무아이면 무엇이 육도윤회를 하는가? ‘일체 모습을 모습 아닌 것으로 보면 곧 부처를 보리라.’고 했는데 어떻게 모습을 모습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는가? 이러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를 무착보살이 집대성한 것을 유식학이라 하는데 그 방대한 유식학을 그의 아우 세친보살 세친(世親)이 오언(五言) 사구(四句) 삼십송(三十頌)으로 요약한 것을 유식 30송이라 한다. 

* 무착(無着) - Asanga 310~390? 북인도 간다라국의 사람
* 세친(世親) - Vasubandhu 320~400; 무착의 아우.

삼계유심(三界唯心) 만법유식(萬法唯識)이란?

무엇이 행복과 불행을 좌우할까?
무엇이 성공과 실패를 좌우할까?
잘 생기고 못생김을 좌우하는 것은 무엇일까?
육체적인 병의 원인은 무엇이며 정신적인 병의 원인은 무엇일까?
무엇이 슬퍼하고 괴로워할까?
무엇이 편안해하고 즐거워할까?
무엇이 미워하고 두려워할까?
무엇이 나를 구속하고 협박할까?
세상에 있는 것을 내가 보는가? 내가 보는 대로 세상이 있는 것인가?
눈(雪)이 오는 것을 내가 보는가? 내가 보는 눈이 오는 것일까?
이 사람이 예쁜 사람인가? 내가 이 사람을 예쁘게 보는 것인가?
이 사람이 나쁜 사람인가? 내가 이 사람을 나쁘게 보는 것인가?

* 삼계유심(三界唯心) 만법유식(萬法唯識)
원효스님은 당시 당나라에 현장법사 (600~664)가 인도 유학을 마치고 자국에 돌아와 유식으로 유명해지고 있는 것을 알고 유식을 배우기 위해 당나라에 가려고 나섰다가 간 밤 꿈에서 깨어나 삼계유심(三界唯心) 만법유식(萬法唯識)이란 유식의 진수를 깨닫게 되었음으로 현장법사에게 가도 더 이상의 것을 배울 것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었다.

 

유식30송(현성스님).hwp
0.16MB

 

 

소개책자 신청

https://forms.gle/UbXad61LkRMLsDMX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