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작가 김중만

개밥그릇 2012. 6. 8. 20:11


김중만사진첩(1)  <== 클릭 
김중만사진첩(2)   <== 클릭 


서양의 수많은 여배우들이 김중만 작가 앞에서 누드를 찍고 싶어한다고 하는 훌륭한 작가입니다. 

사부님이 김중만 작가를 언급하시면서, 인생의 고생을 많이 해봐야 제대로된 사진을 찍는다는

말씀을 하신적이 있습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사람들은 김중만을 자유로운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부러워하는 것 같다. '자유'의 가치를 아는 사람인 것 같다. 
한 때는 자유가 나를 움직이는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했다. 1995년에 보름 정도 정신병원에 강제 수용된 경험을 한 뒤에 생각이 바뀌었다. 80명 정도가 함께 있었는데, 내가 보니까 제대로 미친 사람은 2~3명 밖에 없었다. 나머지 멀쩡한 사람들이 왜 거기 있어야 하는지가 궁금했다. 
나는 힘들어 죽겠는데, 그들은 너무나 편안해 보였다. 며칠 동안 지켜보니 그들이 나와 다른 것은 갇혀 있는 것이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들은 내일이 없어서 미친 것이었다. 그들에게 자유는 의미가 없었다. 내일이 없다는 절망감에 갇혀 있다는 것 따위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때 자유보다 희망이 가치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 정신병원에도 수용된 적이 있는 줄은 몰랐다. 
정신병원에 처음 수용되었을 때 들었던 생각은 '아 대한민국이 나를 예술가로 만들어 주려고 용을 쓰는구나'하는 것이었다. 돈 주고도 할 수 없는 경험이었다. 하지만 두 번 경험하고 싶지는 않다. 거기 환자들이 '넌 왜 왔니' 물어서 '난 안 미쳤다'고 했더니, '우리도 안 미쳤어'라고 하더라. '이러면서 도는 거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처럼 돌지 않기 위해 그들을 열심히 관찰했던 것 같다.



///////////////////////////////////////////////////////////////////////////


20120608_20051

20120608_2002

20120608_2003

20120608_2004

20120608_2005

20120608_2006

20120608_2007

20120608_20041




'개밥그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우도  (0) 2012.08.06
라마나 마하리쉬 이야기  (1) 2012.01.01
인생을 공부하는 법  (0) 2012.01.01
삶과 죽음-탄허스님  (0) 2012.01.01
진리에의 인연 (4)  (0) 201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