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교 문화의 특징.

종교정신과 道 2007. 6. 11. 16:39


종묘대제 (제가 만든 것입니다.)



이 동영상에서 신교 문화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유불선 이전에 동서양에 잇던 뿌리문화를 신교(神敎)문화라고 한다.

그것의 특징은

1. 경전이 없다.

2. 신으로써 가르침을 베푼다.(규원사화, 환단고기)

3. 그렇기 떄문에 성군이 정치를 하거나 국가 체계가 아직 미약하거나
형성이 되어가는 단계이다. 고조선과 그 이전 시대는 나름대로 신교문화가 융성한 때엿다. 고고학적 유물만을 중요시하는 현대 역사학자들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라 불러준다.

4. 종교와 정치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다.

5. 인류의 최초의 인식 구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현대인은 그것을 신화 또는 미신이라 부른다. 그 당시 인간들은 나름대로 합리적인 사유체계를 가지고 있엇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이다.

6. 중요한 것은 현대 문명은 또한 다시 신교 문화를 재생시키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다. 얼마전 빌게이츠는 미래의 사회는 "창조적 자본주의"라고 했다. 우리는 여기서 '창조적' 세글자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7. 핵심은 인간이 자신의 무의식, 잠재의식, 영능력이 얼마나 열려서
주관과 객관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일심 세계의 경지에 들어가는가에 포인트가 있다.

8. 세속 사람들은 일심 세계에 대해서 알지 못하거나, 알고 잇더라도 일심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교 문화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